생활문화공간 ATO

생활문화공간 ATO

  • 분류 전체보기 (261)
    • WELCOME (7)
    • ATO의 이야기 (48)
      • 이런 저런 이야기 (22)
      • 강좌 안내와 후기 (26)
    • ATO 공부 (143)
      • 사회경제 (37)
      • 마을만들기 (27)
      • 글쓰기 (22)
      • 자료 읽기 (57)
      • 건강_음식_수면_운동 (0)
    • ATO 전시와 기념품 (3)
      • library (0)
      • sample (0)
      • TRAVEL GUIDE (3)
    • ICN TOUR (54)
      • GALLERY (9)
      • COURSE A (20)
      • COURSE B (14)
      • COURSE C (11)

공지사항

  • 2022년 ATO 활동 계획
  • 2021 안녕한마을 아카데미(9월말~10월)
  • ATO 사회경제공부회 출발~
  • '안녕한 동네'팀, 공모전 대상 수상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ATO facebook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생활문화공간 ATO

컨텐츠 검색

태그

사회적경제 아토 사회적기업 마을공동체 이웃이배움터 생활문화공간 안녕한동네 인수마을 만수4동 거머리산 만수동 협동조합 남동구 대토단지 삼천리자전거 마을기업 생활문화 ato 도시재생 뜨락

최근글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 위한 토론회
  • 2023년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 선정
  • 소규모 주택 정비 사업 관련
  • 재개발에 대한 이야기

댓글

  • 새끼들을 보니 마음이 아프면서도 현실적인 고민을 하게되네요...
  • 남동구의 상징 새가 바로 제비네요. 남동구 로고도 제비를 형상화한 부분이⋯
  •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으로 더 큰 협동을 만들어요! ▫️사회적경제란? ⋯
  • 맥아더 장군 별세. -맥아더 장군 84세 일기로 세상을 떠남, 장군의 ⋯

아카이브

  • 2023/03
  • 2023/01
  • 2022/12
  • 2022/10

ATO 공부/자료 읽기(57)

  • 소규모 주택 정비 사업 관련

    2023.01.09
  • 재개발에 대한 이야기

    2022.12.31
  • 저층주거지 주택 안전 점검

    2022.12.20
  • 서울시 도시재생 정책 변화

    2022.12.13
  • [자료] 마을학, 생활학

    2022.10.30
  • [기사] 집에서 혼자 죽는 건 불행한 죽음일까?

    2022.10.25
소규모 주택 정비 사업 관련

주민들이 공동 사업에 대해 자세히 내용을 파악하지 않고 문서에 서명을 하는 일. 이것이 가장 시급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대목입니다. “ 더 큰 문제는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대상이 되는 구역엔 노후주거지가 많고, 이런 골목엔 노년층의 주거 비율이 낮지 않다는 점이다. 정비사업의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운 노년층은 정비 사업을 추진하는 쪽의 말에 쉽게 현혹돼 설립 동의서에 도장을 찍을 공산이 크다. 미아동 767-51번지의 주민 황희운(가명ㆍ84)씨도 그랬다. 정비구역 내 단독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황씨는 '동네를 깨끗하게 만드는 일'이란 홍보요원의 설명을 듣고 조합 설립 동의서에 서명을 했다가 뒤늦게 적지 않은 분담금을 내야 하는 사업이란 걸 깨달았다. 하지만 철회 의사를 밝혔을 땐, 이미 조합이 설립된 ..

2023. 1. 9. 17:09
재개발에 대한 이야기

2023년에는 제1종 주거지역의 미래에 대한 고민을 더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20년 전인 2003년에 인천지역 1종지가 1/3 수준으로 줄어들었다는 기사가 있습니다. 어느 교양 예능 프로그램에서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가 “인생은 잡학”이라고 말했는데요, 마을에서 행복하게 살아가려는 저에게 정말로 피부에 와 닿는 이야기였습니다. 행복한 마을살이는 성공적인 마을만들기를 통해 이루어질수 있을 텐데요, 여기에는 공동체, 주민자치, 협동조합,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재개발 등에 대한 지식이 팔요합니다. 그리고 마을에서 개선해야하는 집수리, 태양광, 방수, 주차, 돌봄, 정원, 음식, 건강 등 정말로 다양한 분야의 경험과 지식이 필요합니다. 서울의 재개발 정책과 그 결과에 대한 비판적인 자료를 링크합니다. 어떤 정책..

2022. 12. 31. 23:55
저층주거지 주택 안전 점검

우리가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하는 게 의. 식. 주. 라고 하는데요, 의(옷)는 식(음식)과 주(집)에 비하면 중요성이 낮은 거 같습니다. 음식과 집 문제는 정말 중요하지요. 비용적인 부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저층주거지의 장점을 살리고 아름다운 동네로 가꾸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우선 집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는데요, 단열. 방수. 주차공간. 등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안전”이 최우선이아 하겠습니다. 저층주거지 주민 중에는 직접 집수리 공사를 하는 분도 있고, 업체을 선정할 때에도 최저가로 하는 분이 많습니다. 업체가 와도 종합적인 진단보다는 부분적인 처방에 그치곤 하지요. 안전 문제에서부터 시작하여 주택과 동네의 미적 완성도까지 이르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https://v.daum.ne..

2022. 12. 20. 08:08
서울시 도시재생 정책 변화

새 정부가 들어서고 해가 바뀌면서 도시재생 사업에도 변화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도시재생 사업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이 잘 해결되고 좋은 방향으로 정책이 업그레이드 되어야 할텐데요.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774364?sid=101 서울시, 기존 '마을 공동체' 도시재생사업 손본다 서울시는 보존과 도시 개발이 균형을 이루는 새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공청회를 통해 선보인다고 14일 밝혔다. 소규모 주택정비 등의 개발사업을 활성화하고 공유주방, 문화공간, 카페 등 협동조 n.news.naver.com http://mnews.lghellovision.net/news/newsView.do?soCode=SC40000000&idx=349742 LG헬로비전 지역방송..

2022. 12. 13. 21:02
[자료] 마을학, 생활학

https://www.jjan.kr/article/20170817618694 [마을학개론 ① 마을이란 무엇인가]사람으로, 사람답게, 사람들과 더불어 사는 곳 9월초부터 우석대 평생교육원에서 마을학개론 강좌를 개설한다. 전남의 순천대 평생교육원에서도 같은 강좌를 연다. 하지만 실제로 개강할 수 있을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적정한 인원의 수강생 www.jjan.kr https://ckaskan1.tistory.com/6220 [참고 자료] "마을학 개론 : 마을이란 무엇인가?" / 정기석 마을연구소 소장 [ 벌써 5~6년 전부터 특히 우리가 주시하고 배워야 하리라 생각했었다 ] [마을학개론 ① 마을이란 무엇인가] 사람으로, 사람답게, 사람들과 더불어 사는 곳 전북일보 / 기고 : 정기석 / 입력 2017-08..

2022. 10. 30. 09:03
[기사] 집에서 혼자 죽는 건 불행한 죽음일까?

“ 마지막, 노쇠한 상태로 집에서 죽음을 맞으려면 간병, 간호, 의료 서비스가 꼭 필요하다. 하지만 병원이나 시설에 들어가는 것은 피해야 한다면 어떻게 하란 말인가? 여기에서 해결책으로 등장하는 것이 일본의 간병보험(개호보험)이다. 요양보호사, 간호사의 가정 방문 서비스를 포함하여 통원·입원 서비스를 포괄하여 제공하는 이 보험제도는 노인이 자기 집에서 마지막을 준비하고 맞이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쉽게 말해, 집에서 필요한 요양을 요양보호사가, 의료적 돌봄을 간호사와 의사가 방문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 https://m.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064101.html?_fr=fb#ace04ou 집에서 혼자 죽는 건 불행한 죽음일까? 김준..

2022. 10. 25. 15:55
1 2 3 4 ··· 10
ATO facebook
copyright © calico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