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공간 ATO

생활문화공간 ATO

  • 분류 전체보기 (261)
    • WELCOME (7)
    • ATO의 이야기 (48)
      • 이런 저런 이야기 (22)
      • 강좌 안내와 후기 (26)
    • ATO 공부 (143)
      • 사회경제 (37)
      • 마을만들기 (27)
      • 글쓰기 (22)
      • 자료 읽기 (57)
      • 건강_음식_수면_운동 (0)
    • ATO 전시와 기념품 (3)
      • library (0)
      • sample (0)
      • TRAVEL GUIDE (3)
    • ICN TOUR (54)
      • GALLERY (9)
      • COURSE A (20)
      • COURSE B (14)
      • COURSE C (11)

공지사항

  • 2022년 ATO 활동 계획
  • 2021 안녕한마을 아카데미(9월말~10월)
  • ATO 사회경제공부회 출발~
  • '안녕한 동네'팀, 공모전 대상 수상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ATO facebook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생활문화공간 ATO

컨텐츠 검색

태그

인수마을 만수4동 ato 생활문화 생활문화공간 도시재생 사회적기업 남동구 이웃이배움터 마을기업 거머리산 마을공동체 삼천리자전거 대토단지 만수동 뜨락 아토 안녕한동네 협동조합 사회적경제

최근글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 위한 토론회
  • 2023년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 선정
  • 소규모 주택 정비 사업 관련
  • 재개발에 대한 이야기

댓글

  • 새끼들을 보니 마음이 아프면서도 현실적인 고민을 하게되네요...
  • 남동구의 상징 새가 바로 제비네요. 남동구 로고도 제비를 형상화한 부분이⋯
  •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으로 더 큰 협동을 만들어요! ▫️사회적경제란? ⋯
  • 맥아더 장군 별세. -맥아더 장군 84세 일기로 세상을 떠남, 장군의 ⋯

아카이브

  • 2023/03
  • 2023/01
  • 2022/12
  • 2022/10

ATO 공부/자료 읽기(57)

  • 새롭게 바뀌는 '주민자치회' 그리고...

    2020.10.08
  • [브런치북] 구도심 주택 망설여지는 이유 (링크, 요약)

    2020.09.09
  • [기사] 책을 통한 나눔과 소통의 공간, 시민대학을 꿈꾸다 (시사인천)

    2019.02.08
새롭게 바뀌는 '주민자치회' 그리고...

주민자치와 관련한 많은 변화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전의 읍면동 주민자치위원회가 점차 '주민자치회'로 바뀌고 있네요. "2020 새로워진 인천 주민자치회: 주민의, 주민에의한, 주민을 위한 자치회" (인천시 공식 유튜브) "주민자치위 -> 주민자치회 전환, 제 역할을 하려면?" (헬로 이슈 토크) 이전 주민자치위원회는 도입된 지가 20여 년이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민자치센터의 강좌 등을 운영하는 등 매우 좁은 범위의 자치만을 담당했는데요, 앞으로는 주민자치회로 전환하면서 보다 나아간 주민자치를 실현해 나가도록 한다는 것이 새로운 제도의 취지입니다. 앞으로는 마을만들기 사업, 도시재생 사업 등에 있어서 동 차원의 주민자치회가 일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사업들도 구상중이라고 하네요. 아래는 보..

2020. 10. 8. 14:30
[브런치북] 구도심 주택 망설여지는 이유 (링크, 요약)

봉봉(프로듀서)님 가족이 인천 서쪽 원도심에 집을 사서 고치고 2년 간 살아온 이야기를... 브런치북에 총 16회에 걸쳐 상세히 기록해 두었습니다. 그 중에서 마지막 글에는 동네에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할 때 필자가 느꼈던 내용을 정리해 두었네요. 링크를 연결해 두겠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도 재미있고, 게다가 유익하고 감동도 있습니다. 브런치북 "그래서 우리는 구도심 주택을 샀다" 중 16화 "구도심 주택 망설여지는 이유" 글 내용 중 요약 1. 주차문제. 공영주차장을 늘여야 한다고 주장. 2. 도시재생사업을 하며 센터를 만들어 마을의 '허브' 역할을 하기를 추구하지만, 필자는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는 센터들을 많이 보았다고 함. 인위적이고 공적자금 의존적인 마을 센터의 부작용을 지적함. 3. 도시가..

2020. 9. 9. 15:53
[기사] 책을 통한 나눔과 소통의 공간, 시민대학을 꿈꾸다 (시사인천)

마을은 도시를 구성하고 지탱하는 세포와 같고, 그래서 마을이 살아야 도시가 살 수 있다. 마을공동체에 대한 시민의 관심도를 높이고 참여를 넓히기 위해 은 올해 인천의 다양한 마을공동체를 만나 그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전하고자 한다. 출처 : 시사인천(http://www.isisa.net) 책을 통한 나눔과 소통의 공간, 시민대학을 꿈꾸다 http://www.isisa.net/news/articleView.html?idxno=113017 " 그냥 서점이라고 부르기엔 모자라다. 책뿐만 아니라 공연시설과 전시 공간, 세미나실, 카페까지 구비돼있는 이 공간을 뭐라고 불러야할까 고민하는데 벽에 떡하니 걸려있는 간판이 눈에 들어왔다. 복합문화서점 마샘. 말 그대로 복합 문화 공간이다. 책들이 진열돼있는 모습은 여느 ..

2019. 2. 8. 12:13
1 ··· 7 8 9 10
ATO facebook
copyright © calico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