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공간 ATO

생활문화공간 ATO

  • 분류 전체보기 (266)
    • WELCOME (8)
    • ATO의 이야기 (48)
      • 이런 저런 이야기 (22)
      • 강좌 안내와 후기 (26)
    • ATO 공부 (147)
      • 사회경제 (37)
      • 마을만들기 (27)
      • 글쓰기 (22)
      • 자료 읽기 (58)
      • 건강_음식_수면_운동 (3)
    • ATO 전시와 기념품 (3)
      • library (0)
      • sample (0)
      • TRAVEL GUIDE (3)
    • ICN TOUR (54)
      • GALLERY (9)
      • COURSE A (20)
      • COURSE B (14)
      • COURSE C (11)

공지사항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ATO facebook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생활문화공간 ATO

컨텐츠 검색

태그

생활문화공간 남동구 삼천리자전거 만수4동 안녕한동네 대토단지 사회적기업 도시재생 협동조합 만수동 이웃이배움터 인수마을 마을공동체 거머리산 생활문화 마을기업 뜨락 ato 아토 사회적경제

최근글

  • 식재료 관리법 모음
  • 당신이 먹는 게 삼대를 간다(2-2) 유전자 조작 기술⋯
  • 블로그 변경 예정 안내
  • 당신이 먹는 게 삼대를 간다(2-1) 화학물질과 유전자⋯

댓글

  • 새끼들을 보니 마음이 아프면서도 현실적인 고민을 하게되네요...
  • 남동구의 상징 새가 바로 제비네요. 남동구 로고도 제비를 형상화한 부분이⋯
  •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으로 더 큰 협동을 만들어요! ▫️사회적경제란? ⋯
  • 맥아더 장군 별세. -맥아더 장군 84세 일기로 세상을 떠남, 장군의 ⋯

아카이브

  • 2023/05
  • 2023/04
  • 2023/03
  • 2023/01

ATO 공부(147)

  • [기획논문] 플랫폼 노동과 디지털 노동수기

    2020.08.30
  • [서평] 초일류 기업의 돌연사에 대한 보고서

    2019.07.16
  • 질적연구방법 교재 소개

    2019.04.09
  • “당신에게 나, 은혜입은 거 없어! ─『여공 1970, 그녀들의 역사』서평” (이재성, 김혜영)

    2019.03.03
  • 통계교육원 교육 프로그램 추천

    2019.02.12
  • [기사] 책을 통한 나눔과 소통의 공간, 시민대학을 꿈꾸다 (시사인천)

    2019.02.08
[기획논문] 플랫폼 노동과 디지털 노동수기

[기획논문] 플랫폼 노동과 디지털 노동수기┃이재성(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연구위원) www.ii.re.kr/journal/journalList.do?m=010301&boardID=411&coverSeq=34 인천연구원 인천연구원 www.ii.re.kr Ⅰ. 서론 Ⅱ. 기업 광고와 언론 보도 담론의 형식과 논리 1. 배민 커넥트 광고 담론과 논증 구조 2. 보수와 진보 언론의 담론과 논증 구조 Ⅲ‘. 투잡’ 배달 노동 수기의 형식과 논리 1. '직장인 투잡연구소’: 부업 관리의 담화 2. '파란 모래시계’: 검증과 소통의 담화 Ⅳ. 플랫폼 노동 담론:‘ 투잡’과 배달 노동의 의미 1. 수익성 : 현실 적응과 미래의 준비 2. 관계성 : 배달노동의 의미와 인정의 요구 Ⅴ. 결론 이 연구의 목적은 플랫폼 노..

2020. 8. 30. 16:41
[서평] 초일류 기업의 돌연사에 대한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https://www.ii.re.kr/urban_research/view.do?coverSeq=32&seq=351&boardID=411&m=010301 인천연구원 인천연구원 www.ii.re.kr 초일류 기업의 돌연사에 대한 보고서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산업도시 거제, 빛과 그림자』. 양승훈. 2019. 서울: 오월의 봄 이재성(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연구위원) 1. 내부자가 기록한 위기의 기업과 도시 누군가의 첫 마디가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로 다가올 때가 있 다. 이 책의 저자가 거제도에 처음 가서 만난 택시 기사는 “거제도는 대우, 삼성이 다 먹여 살리는 겁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30쪽). 산업노동의 측 면에서 보면 거제도는 대우조선1)과 삼성중공업의 도시, 조선소..

2019. 7. 16. 08:51
질적연구방법 교재 소개

​“삶의 존재론적 고민에 대한 사회과학적 질문과 성찰” 1) [질적 연구자 좌충우돌기 - 실패담으로 파고드는 질적 연구 이모 저모], 한국문화사회학회 편 (휴머니스트, 2018), 2)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 연구방법론], 한국문화사회학회 편 (휴머니스 트, 2018) 이 두 권의 책은 이론과 현실의 간극을 고민하는 연구자들에게 나침판 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존재론적 고민과 성찰적이며 섬세한 시각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론서 와 경험서를 같이 읽을 경우, 책을 읽는 독자는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구체 적이며 실질적인 자신만의 방법을 확립해 가는 데에 도움을 받을 것으로 확신한다. 한국구술사학회 학회지에 실린 서평 입니다. ​

2019. 4. 9. 10:09
“당신에게 나, 은혜입은 거 없어! ─『여공 1970, 그녀들의 역사』서평” (이재성, 김혜영)

비평문(서평)의 한 사례로서 필자들의 글을 올립니다. '디비피아'에서 pdf파일을 제공합니다만, 인쇄 당시 최종수정본이 반영되지 못한 관계로, 완성 원고는 온라인판으로만 제공 되었었습니다. 진보평론 싸이트는 더 이상 열리지 않습니다. 이재성·김혜영 (2005), “당신에게 나, 은혜입은 거 없어! ─『여공 1970, 그녀들의 역사』서평,”《진보평론》제26호, 330~344쪽. 1. 표정 없는 권력, 무관심 지난 6월에 열린 “구로동맹파업 20주년 정신계승 대토론회”의 첫 순서는 증언대회였다.1) ‘가리봉전자’ 등 당시 투쟁사업장의 주역들이 나와 눈물을 감추지 못하며 자신의 체험을 이야기하였다. 그런데 증언의 내용 중에서 다음과 같은 말들이 나왔다. “우리는 ‘우리 일이니까(…)’지, 우리가 하는 일의 의..

2019. 3. 3. 19:07
통계교육원 교육 프로그램 추천

비평에서는 직접적인 자료 조사 및 분석은 잘 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연구의 분야입니다. 그렇다해도 비평은 기존 연구 결과를 활용해야 하므로 학술자료에 대한 평가 능력이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양적방법과 관련하여 통계교육원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ti.kostat.go.kr/coresti/site/main.do 매우 유익합니다.

2019. 2. 12. 10:51
[기사] 책을 통한 나눔과 소통의 공간, 시민대학을 꿈꾸다 (시사인천)

마을은 도시를 구성하고 지탱하는 세포와 같고, 그래서 마을이 살아야 도시가 살 수 있다. 마을공동체에 대한 시민의 관심도를 높이고 참여를 넓히기 위해 은 올해 인천의 다양한 마을공동체를 만나 그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전하고자 한다. 출처 : 시사인천(http://www.isisa.net) 책을 통한 나눔과 소통의 공간, 시민대학을 꿈꾸다 http://www.isisa.net/news/articleView.html?idxno=113017 " 그냥 서점이라고 부르기엔 모자라다. 책뿐만 아니라 공연시설과 전시 공간, 세미나실, 카페까지 구비돼있는 이 공간을 뭐라고 불러야할까 고민하는데 벽에 떡하니 걸려있는 간판이 눈에 들어왔다. 복합문화서점 마샘. 말 그대로 복합 문화 공간이다. 책들이 진열돼있는 모습은 여느 ..

2019. 2. 8. 12:13
1 ··· 21 22 23 24 25
ATO facebook
copyright © calico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